[2025-04-14] News Summary

A brief review of the digital asset market and industry
| Digital Assets
직전 24시간전 대비 비트코인 가격은 2.27% 하락한 83,405달러, 이더리움 가격은 3.68% 하락한 1,588달러
블랙록은 2025년 1분기에 총 84억 달러의 순유입을 기록했으며, 이 중 30억 달러가 디지털 자산 관련 상품에 유입. 이는 전체 iShares ETF 순유입 1,070억 달러 중 2.8%에 해당
암호화폐 시장 롱 포지션 청산 규모가 주간 기준 22억 달러에서 12억 달러로 감소. 이는 투자자들이 레버리지 비율과 포지션 크기를 줄이며 더욱 신중해지고 있음을 시사
2025년 들어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ETF는 프로셰어즈의 ‘울트라숏 이더리움 ETF(ETHD)’으로 판명. 블룸버그는 이 ETF의 연초 대비 수익률이 247%에 달한다고 밝힘
리플은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리플USD(RLUSD)와 자체 결제솔루션인 ‘리플 페이먼츠’를 통합. RLUSD를 기관 간 결제나 정산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리플과 SEC는 ‘항소 절차 중단 및 합의 준비’를 위한 공동 신청서를 법원에 제출. 이는 양측이 원칙적 합의에 도달했음을 시사
솔라나 기반 분산형 무선 네트워크 프로젝트인 헬리움(HNT)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의 소송 기각 소식에 급등. SEC는 헬리움 개발사 노바랩스가 증권법을 위반했다며 소송을 제기한 바 있음. 노바랩스는 분쟁을 종결하기 위해 20만달러의 합의금을 지급했으며, 법적 책임은 인정하지 않음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이번 글로벌 무역 갈등 국면에서 BTC의 주간 변동성 지표는 8%~21% 범위. 이는 2020년 코로나19 사태 당시 72%, 2022년 루나 사태 49%, FTX 붕괴 31%, SVB 뱅크런 31%와 비교해 크게 낮은 수치. 이러한 안정성은 BTC의 유동성과 시장 구조가 개선되었음을 시사
스탠다드차타드가 엑XRP 가격이 현재보다 약 500% 오른 12.5달러에 도달할 수 있다고 예측. XRP의 시가총액도 같은 시점에 이더리움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 SEC가 2025년 3분기 XRP 현물 ETF를 승인할 것으로 예상. 승인 시, 첫해에만 40억~80억 달러 규모 자금 유입이 가능하다는 분석
스탠다드차타드와 오케이엑스가 두바이 국제금융센터 MMF 토큰화 거래 실험에 돌입. 두바이 금융서비스국의 감독 하에 실험을 시작. 주요 참여 기업은 프랭클린 템플턴으로, 오케이엑스는 프랭클린 템플턴 암호화폐 팀이 개발한 온체인을 활용, MMF 토큰을 출시한다는 방침
온체인 분석업체 샌티멘트에 따르면, 보유량이 1억~10억 DOGE 사이인 고래 주소들은 7일간 14억1000만 DOGE를 추가로 매수. 이들의 총 보유량은 256억8000만 DOGE로 지난해 12월 이후 최고 수준
리플 CEO는 미국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SEC에 지불할 벌금 5000만 달러 중 일부를 XRP로 제공하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힘. 해당 발언은 양측이 항소를 철회하고 최종 합의를 앞둔 가운데 나온 것
프랙스 창립자 샘 카제미안은 이더리움의 유틸리티가 실제 가격 상승과 연결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 EIP-1559 업그레이드 이후 기술주 가치 평가 모델로 전환이 원인이라고 분석. 이더리움이 디지털 금·은·석유로 설계됐지만, 현재는 주식처럼 수익 모델에 기반한 평가 방식으로 전락했다고 비판
바이낸스가 미국 재무부에 자금세탁 방지 감시 해제를 요청.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 가족이 관여한 암호화폐 프로젝트와 거래를 추진하며 미국 시장 복귀를 모색. 트럼프 가족이 설립한 암호화폐 기업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이 발행 예정인 스테이블코인 USD1 상장을 협의 중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중국산 일부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 대상에 비트코인 채굴기가 포함될 지가 관심. 비트코인 채굴업체들은 관세 시행 전에 ASIC 채굴기를 미국으로 빠르게 반입중
미국 상원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암호화폐 시장 구조 법안이 2025년 8월까지 법으로 제정될 가능성을 언급. 그는 올해 3월 포괄적인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인 GENIUS법을 통과시킨 사례를 들며, 금융위원회가 암호화폐 정책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
뉴욕주 법무장관 레티샤 제임스는 디지털자산이 본질적 가치를 지니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미국 연금 펀드가 디지털자산이나 이를 추적하는 ETF에 투자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을 의회에 요구
트럼프 대통령 가문이 진출한 디지털 자산 관련 사업은 “NFT, 디파이, 밈코인, ETF, 스테이블코인, 비트코인 채굴”로 확인. 현존하는 암호화폐 산업 거의 모든 부문에 진출. 트럼프 가문이 암호화폐 사업으로 번 돈이 약 10억 달러에 달한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
스테이크하우스는 스테이블코인을 준비금 구성에 따라 완전 준비금, 부분 준비금, 비 준비금 세 가지로 구분. 완전 준비금(USDC)은 은행 예금, 단기 국채 등 현금성 자산으로만 구성돼 유동성이 높지만 낮은 수익성. 부분 준비금(USDT·USDS)은 상업어음, 담보 대출, 원자재 등 고수익 자산에 일부를 투자해 높은 수익성. 비준비금 모델은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처럼 외부 자산 없이 발행
샤크탱크의 스타 투자자 케빈 오리어리가 SUI를 ‘가장 뜨거운 암호화폐’로 지목. 그는 “지금 가장 핫한 티켓은 SUI다. 속도와 유스케이스가 훌륭하다”며, 미스텐랩스가 주도하는 이 프로젝트에 대한 강한 신뢰를 표출
비트멕스 공동 창업자인 아서 헤이즈가 “지금은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투자할 시기”라며 “비트코인은 이제 ‘UP ONLY’ 구간에 진입했다”고 밝힘
암호화폐 금융 플랫폼 언체인드가 비트코인이 2035년까지 180만 달러를 돌파할 수 있다고 전망. 그는 ‘패러렐 모델’과 마이클 세일러의 ‘비트코인 24 모델’ 모두를 유효한 상승 시나리오로 제시
비트코인 채굴 시장에서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격화하면서 BTC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 패권 경쟁이 곧 비용 증가로 이어지면서 채굴 기업이 보유한 BTC를 대량 매도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
일본 금융청이 자금 조달을 기준으로 디지털 자산을 분류하는 방안을 제시. FSA는 디지털 자산을 유틸리티 토큰이 포함된 1유형과, 비트코인, 이더리움이 포함된 2유형으로 구분하여 차별화된 규제를 적용 예정
홍콩 금융당국이 암호화폐거래소 해시키 암호화폐 스테이킹 서비스에 대해 승인 결정. 해시키 측은 “투자자들이 이더리움 ETF뿐 아니라 직접 이더리움을 보유하며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언급
| Articles & Sources
스테이크하우스 파이낸셜(Steakhouse Financial)은 USDT(테더), USDC(유에스디시코인), USDS(유에스디에스) 등 주요 스테이블코인의 재무 구조를 분석하며, 각각의 비즈니스 모델이 어떻게 다른 수익성과 리스크를 가지고 있는 지를 정리했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88174
국내는 은행권 공동으로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신한은행, NH농협은행, 케이뱅크가 일본 대형은행들과 함께 ‘프로젝트 팍스(Project PAX)’에 참여한다. 프로젝트 팍스는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해 차세대 글로벌 송금 및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젝트이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4131344106254
트럼프 가문은 디파이 프로젝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을 중심으로 암호화폐 산업 지배력을 강화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친 암호화폐 정책과 ‘가문의 이익’ 간에 이해충돌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88820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가지 정책이 비트코인의 잠재적 상승을 이끌 수 있다고 야후파이낸스가 분석했다. “비트코인 불장을 촉발할 트럼프의 두가지 핵심 정책”을 요약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두 번째 임기 중 비트코인의 잠재적 상승을 이끌 수 있는 두 가지 주요 정책을 발표했다. 대표적인 정책은 △전략적 암호화폐 비축계획 △초대형 관세 부과 정책이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88768
디지털 자산 분류를 진행하려는 일본의 최근 움직임은 더욱 포괄적인 디지털자산 규제 방향과 일치한다. 일본 금융청은 최근 금융상품거래법을 개정하겠다고 밝히며, 이를 2026년까지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디지털자산는 더 이상 결제 수단이 아닌 독자적인 금융 상품 범주로 분류될 전망이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88507
국내에서 2018년부터 가상자산 채굴 사업을 이어온 장재윤 채굴TV 대표는 11일 기자와 만나 산업용 전기를 쓸 수 없어 일반용 전력을 사용하는 현실을 지적했다. 장 대표는 “채굴은 별도 업종 코드가 없어 일반 컴퓨터 관련업으로 등록했고 이 때문에 산업 활동으로도 인정받지 못한다”며 “산업용 전기가 아닌 일반 전기를 써야 해 요금이 10~20% 더 비싸다”고 말했다.
https://www.decenter.kr/NewsView/2GRHBS9UWB/GZ03
은행들은 한국은행이 추진하고 있는 여러 테스트 사업을 진행 중이다. 대표적인 것이 '프로젝트 한강'이라는 이름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사업으로 7개 은행이 참가하고 있다. 편의점과 배달앱 등에서 이를 활용해 결제가 가능하게 했다.
https://m.newspim.com/news/view/20250411000620
크립토펑크 NFT가 1년 만에 1000만달러 손실을 기록했다는 소식이다. 10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디크립트에 따르면, 크립토펑크 3100은 지난해 4500ETH에 구매됐지만, 이번 거래에서는 4000ETH(약 600만달러)에 판매됐다. 이는 이더리움 가격 하락이 영향을 미쳤으며, 지난해 4500ETH의 가치는 1600만달러에 달했다.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1154
금융당국이 신용정보법의 가상자산사업자 적용을 유예하기로 하면서 가상자산 업계가 한숨을 돌렸다. 금융권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금융감독원이 가상자산사업자의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신용정보법) 준수 관련 비조치의견서를 공개했다.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1001
| Disclaimer
본 자료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투자 조언이나 권유를 위한 것이 아닙니다. 여기에 포함된 정보는 다양한 출처에서 수집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투자 결정은 개인의 재무 상황, 투자 목표, 위험 감수 능력 등을 고려하여 독자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투자 결정의 결과에 대해 작성자 및 배포자는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