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2] News Summary

A brief review of the digital asset market and industry
| Digital Assets
직전 24시간전 대비 비트코인 가격은 0.81% 상승한 105,541달러, 이더리움 가격은 0.12% 상승한 2,535달러
비트코인 ETF가 시장 변동성과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대규모 자금 유출을 기록. 블랙록의 IBIT에서 약 4억3000만 달러의 하루 최대 자금 유출이 발생
아르테미스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2월까지 스테이블코인 결제 규모는 940억2000만달러에 육박
트럼프 대통령이 대주주로 있는 트럼프 미디어앤테크놀로지 그룹은 총 23억2000만달러를 조달하며 비트코인 보유 전략을 공식화. 자금은 총 50개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한 사모 방식으로 유치됐으며, 55만8000주의 보통주와 2028년 만기 전환사채 발행으로 구성
미국 SEC가 솔라나와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에 대한 승인 결정을 보류. SEC는 해당 펀드를 전통적인 ETF로 인정하지 어렵다는 입장. 펀드들이 사용하는 C-코퍼레이션 구조가 ETF 규정 중 ‘ETF에 적합한 기업 구조를 지정하는 규정’과 충돌한다고 지적
미국 SEC가 디지털자산 스테이킹 서비스에 대해 ‘증권이 아니다’는 입장을 공식화한 가운데, 일부 주 정부의 소송 지속이 디지털자산 업계의 혼선. 특히 캘리포니아, 뉴저지, 메릴랜드, 워싱턴, 위스콘신 등 5개 주는 SEC의 소송 철회에도 불구하고 코인베이스를 상대로 한 법적 조치를 지속
글로벌 결제 기업 스트라이프가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글로벌 결제 시스템에 통합을 추진. 스트라이프는 “은행들과 스테이블코인 결제 도입을 위한 초기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은행들은 이를 단순한 유행이 아닌 미래 금융 인프라로 보고 있다”고 밝힘
메타가 최근 열린 연례 주주총회에서 비트코인을 회사 재무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하자는 주주 제안을 거부
FTX 채권자 신탁이 5억 달러 이상의 현금과 스테이블코인을 채권자들에게 분배하기 시작. 해당 자금은 비트고와 크라켄을 통해 6월 첫째 주차 3영업일 이내에 채권자 계좌로 입금될 예정
비트코인 트레저리 따르면 전날 기준 비트코인을 보유한 전세계 상장 법인은 총 116개로 집계. 이들이 보유한 총 비트코인 개수는 80만8021개 규모
바이낸스의 미국 법인인 ‘바이낸스US’가 미 증권거래위원회의 소송 철회를 공식화하며 본격적인 사업 복귀를 선언. 바이낸스US는 “이번 결정은 자사의 정당성을 입증한 쾌거”라고 평가하며, 즉시 USD 입금 및 거래 서비스를 재개
홍콩 증권선물위원회의 인가를 받은 디지털 자산 거래소 해시키 익스체인지가 XRP를 공식 상장. 이번 상장은 전문 투자자 대상 거래에 한정되며, XRP의 제도권 내 입지를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전망
중국 정부 산하 싱크탱크가 최근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을 미국 달러 패권에 대한 대비책이자 지속적으로 주목해야 할 비축자산으로 평가
파나마시티 시장이 파나마 운하를 통과하는 선박이 비트코인으로 통과료를 결제하면 대기 없이 우선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
파키스탄은 비트코인 국가 준비금 구축, 디지털 자산청 신설, 2000메가와트 전력의 채굴 인프라 배정 등을 발표. IMF는 해당 계획이 사전 협의 없이 발표됐으며, 전력 배정의 법적 정당성과 명확한 디지털자산 규제 체계가 부족하다고 지적
태국 증권거래위원회가 미허가 디지털자산 거래소 5곳에 대해 차단 조치. 바이비트, OKX, 코인엑스, 1000X, XT 등에게 차단조치
영국 개혁당이 비트코인 전략비축, 암호화폐 허브 등 트럼프식 친 암호화폐 정책으로 청년 유권자들의 지지를 호소
카자흐스탄이 암호화폐 결제를 허용하는 시범 도시 '크립토시티'를 조성할 계획. 크립토시티는 암호화폐를 실제 상품·서비스 결제에 사용할 수 있는 규제 샌드박스 형태로 운영
독일의 토큰화 프로토콜 미다스가 미 국채 토큰화 상품 ‘mTBILL’을 알고랜드 블록체인에서 공식 출시
러시아 중앙은행이 승인된 투자자를 대상으로 일부 암호화폐 기반 금융상품을 제공하는 것을 허용
한국의 업비트는 국제구호개발 NGO 월드비전이 보유한 0.55이더리움의 매도를 지원. 지난 2월 한국의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법인의 가상자산시장 참여 로드맵’에 따라, 일정한 조건을 갖춘 국내 비영리법인과 가상자산 거래소는 이날부터 현금화 목적의 가상자산 거래가 허용
한국 가상자산 거래소로부터 2차 상장폐지를 당한 암호화폐 위믹스가 거래소 퇴출이 확정. 위메이드가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 소속 4개 거래소를 상대로 제기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기각 결정
나스닥 상장사인 메가매트릭스는 자사 이사회가 BTC·ETH를 재무부 준비금으로 인수, 보유하는 안을 승인
웰스파고는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관심이 정량적·정성적으로 모두 전환점을 맞았다"고 평가하며 마스터카드, 페이팔, 빌 홀딩스를 수혜주로 거론
비트코인 맥시멀리스트 맥스 카이저가 최근 쏟아지는 비트코인 보유 전략 기업들에 대해 “약세장에서 버틸 체력도, 신념도 없다”고 일갈. 마이클 세일러의 ‘전략지’를 흉내 낸 기업들이 정작 하락장에서는 흔들릴 수밖에 없다는 경고
아브라 글로벌에 따르면 비트코인이 8월 사상 최고가인 13만달러에 도달할 것이라는 예측. 최근 글로벌 M2가 사상 최대치에 도달한 가운데, 이를 비트코인 가격 상승의 선행지표로 삼는 분석
디지털 자산 뱅킹 기업 시그넘은는 2025년 비트코인의 강세 요인으로 ‘기관 수요와 규제 명확성’을 거론. “최근 비트코인이 공급 충격 기간에 진입했으며, 이로 인해 과거보다 더 극적인 가격 변동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
옵션 플랫폼 데리빗 창립자는 “비트코인은 현재 ‘통합 단계’에 들어섰다. 이는 시장이 최근의 상승을 소화하고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건강한 휴식이다”라고 설명
| Articles & Sources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 닥사(DAXA)는 공식 홈페이지에 ‘공시’ 메뉴를 새롭게 마련하고 기존 공시 기능을 확대 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금융위원회의 ‘법인 시장참여 로드맵 1단계’에 따라 시행되는 가상자산사업자 및 비영리법인의 가상자산 매도 가이드라인에 따라 가상자산 시장의 투명성과 신뢰성 제고를 위해 정보제공 기능을 강화한 것이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475429
치를 고정시킨 스테이블코인은 단순 가상자산을 넘어 지급·결제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다. 중개기관이 필요 없고 국경 간 직접 송금이 가능한 장점 탓에 수요가 급증하면서다. 달러 기반을 넘어 가상자산, 머니마켓펀드(MMF) 등 담보자산도 다양해지고, 은행 및 핀테크사 등 발행 주체별로도 세분화하고 있다.
https://mbiz.heraldcorp.com/article/10499844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는 국제구호개발 비정부기구(NGO) 월드비전이 보유한 0.55이더리움(ETH)의 매도를 지원했다고 1일 밝혔다. 원화 환산 시, 약 198만원 규모다.
https://m.dailian.co.kr/news/view/1505497/
현재 국내에서 디지털자산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에 따라 금융당국에 신고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 △은행의 실명확인 입출금계정 발급 △대표 및 임원의 자격 요건 충족 등이 필요하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18471
미 상원에서는 최초의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법안 ‘지니어스법(GENIUS Act)’이 20일 통과됐다. 법안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자가 발행액 전부를 현금, 미국 국채, 은행 요구불예금 등 안전자산으로 보유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하원 통과는 난항을 겪을 것으로 전망되나 트럼프 행정부 출범 4개월 만에 가상자산 제도화가 급물살을 타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50601/131722730/1
금융업계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토큰증권(ST·Security Token)이 대통령선거 뒤 법제화가 확실시되면서 시장 주도권을 쥐려는 주요 금융사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31018700008
법인의 가상자산(디지털자산) 실명계좌 발급이 법인 형태와 거래 유형별로 단계적으로 허용될 예정이다. 이는 법인이 가상자산을 실명으로 보유하고 처분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는 것을 의미하며, 앞으로 기업의 가상자산 보유 및 거래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동시에 법인의 가상자산 보유가 투명화되는 구조로 진입하면서, 반드시 함께 고려되어야 할 이슈가 ‘외국환 거래’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17388
가상자산 과세 체계는 개인과 법인 간 큰 차이가 있다. 개인은 ‘열거주의’에 따라 법에 명시된 소득만 과세되므로, 기존에는 가상자산 소득이 과세 대상이 아니었다. 반면, 법인은 ‘포괄주의’에 따라 모든 소득이 과세 대상이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17377
홍콩통화감독청(HKMA)은 2024년 3월 스테이블코인 샌드박스를 도입했다. 이후 수개월간 신청 접수가 이어졌고, 2024년 7월18일 샌드박스 참여 기관들이 발표됐다. 신청자들은 특히 스테이블코인의 구체적인 활용사례(use case)를 명확히 제시해야 했고, 이 자산이 실제 경제활동에서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 어떤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지가 평가의 중심이었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19298
| Disclaimer
본 자료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투자 조언이나 권유를 위한 것이 아닙니다. 여기에 포함된 정보는 다양한 출처에서 수집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투자 결정은 개인의 재무 상황, 투자 목표, 위험 감수 능력 등을 고려하여 독자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투자 결정의 결과에 대해 작성자 및 배포자는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