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News Summary

A brief review of the digital asset market and industry
| Digital Assets
직전 24시간전 대비 비트코인 가격은 0.92% 상승한 109,236달러, 이더리움 가격은 0.67% 상승한 2,536달러
토큰화된 국채 및 머니마켓 상품의 총 자산이 80% 증가해 74억달러에 도달. RWA,xyz 보고서는 해당 자산군에 국채 펀드와 미국 정부 국채를 기반으로 한 토큰화 상품을 포함. 블랙록, 프랭클린 템플턴, 야누스 등 대형 운용사들의 토큰화 자산 보유 규모는 올해 들어 세 배 가까이 증가
테더의 ‘XAUT’와 팍소스의 ‘PAXG’ 등 주요 토큰화 금화의 보유자 수가 급증하며 시장 점유율 85%를 차지. 토큰화 금화 XAUT의 보유자 수는 최근 몇 달 새 172% 급증. 팍소스가 발행하는 PAXG의 보유자도 같은 기간 38% 증가. 두 토큰의 합산 점유율은 20억 5000만 달러 규모
자산운용사 인베스코와 갤럭시 디지털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솔라나 연계 ETF 출시를 위한 신청서를 제출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는 오는 14~18일을 ‘크립토 위크’로 지정하고 지니어스 액트 등 스테이블코인 법안을 집중 처리하기로 결정
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암호화폐 기반 ETP에 대한 공시 지침을 새롭게 발표. 이번 조치는 공화당 지도부 주도로 이뤄졌으며, 그간 강경했던 집행 방식에서 완화된 규제로의 전환 신호로 해석
한국은행이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하되, 한은과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등 유관기관의 ‘만장일치’ 동의를 조건으로 하는 방안을 공식 제안. 민간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제도권 안에 두되, 통화·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해치지 않도록 철저히 통제하겠다는 의지
말레이시아 증권위원회가 디지털 자산 시장 성장을 반영해 관련 규제 개편을 추진.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디지털 자산에 대해 거래소 상장을 위한 사전 승인을 면제하는 방안을 제안.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고 상장 절차 신속화를 위한 조치
러시아가 암호화폐 채굴 규제를 본격화. 러시아 에너지부는 탈세 및 불법 채굴 장비를 차단하기 위해 전국 단위 채굴 장비에 대한 등록제를 도입했으나, 여전히 70% 이상의 채굴자들이 세무 등록을 회피
아부다비 증권거래소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채권을 공식 출시. 이번 채권은 퍼스트 아부다비 은행이 발행하며, HSBC 분산원장 기반 디지털 자산 플랫폼 '오리온’을 통해 등록·거래. 투자자들은 유로클리어, 클리어스트림, 홍콩 중앙청산시스템을 통해서도 채권에 접근 가능
부탄이 자국 경제 현대화와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디지털자산 결제를 관광 인프라에 통합.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바이낸스 페이는 부탄의 지역 은행인 DK뱅크와 협력해 현지에서 디지털자산로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
홍콩 금융서비스 및 재무장관은 스테이블 코인이 갖고 있는 복잡한 성격에 기인, 올해 라이선스를 발급받는 업체는 한 자리 수 내외일 것이라는 전망을 밝힘
중국 국금증권이 가상자산 시장 진출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 국금증권은 홍콩 특별행정구 자회사가 가상자산 관련 거래 라이선스 신청을 준비 중이라고 공시. 국금증권 홍콩법인은 이미 홍콩증권감독위원회로부터 5개 분야의 사업 라이센스를 확보
암호화폐 자산 신고 프레임워크(CARF)에 60개국 이상이 참여 의사를 밝히며 2027년부터 암호화폐에 대한 과세 투명성이 전 세계적으로 본격화될 전망. 카프의 초기 시행 대상은 영국과 유럽연합이며,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홍콩, 미국이 2028년 도입을 준비 중
홍콩이 토큰화 채권 발행을 확대. 홍콩 금융재무국 장은 “세 번째 토큰화 그린 채권 발행을 준비 중이며, 향후 정례화할 계획”이라고 밝힘
캐나다 중앙은행이 소매용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설계를 본격 검토. 캐나다 중앙은행은 연구보고서를 통해 일상 결제에 특화된 디지털 캐나다 달러 시스템을 제안
러시아 국영 제조 기업 로스텍이 루블 연동 스테이블코인 RUBx와 결제 플랫폼 RT-페이를 출시. RUBx는 트론 블록체인에서 운영되며, 1루블 당 RUBx 1개를 발행해 실물 루블로 가치가 보장
튀르키예 자본시장위원회는 팬케익스왑과 크립토레이다를 포함한 46개 웹사이트를 차단. 이번 조치는 튀르키예 자본시장법에 근거해 집행. 현지 당국은 해당 웹사이트들이 무허가 암호화폐 서비스를 제공했다고 밝힘
비트코인을 기업 재무 전략의 핵심 자산으로 편입하려는 움직임이 급격히 확산. 특히, 지난 한 주 동안 총 8,400BTC 이상 법인 지갑으로 이동
디 오픈 네트워크(TON)가 최소 10만 달러 상당의 톤코인을 3년간 스테이킹하고 3만 5천 달러의 수수료를 지불하면 아랍에미리트의 10년 골든비자를 발급받을 수 있다는 발표. 반면 바이낸스의 창펑자오는 강한 회의론을 제기
온도 파이낸스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규제 아래 운용되는 브로커인 오아시스프로를 인수하며 토큰화 주식 시장 확대를 추진
일론 머스크가 창당을 선언한 신당 '아메리카당'이 비트코인을 공식적으로 수용하겠다고 밝힘. 머스크는 “법정화폐는 희망이 없다, 그러니 그렇다”고 답하며 비트코인 수용 방침을 확인
코빗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지난 2월부터 6월까지 5개월간 디지털자산 펀드의 운용 자금은 1670억달러로 집계돼 역대 최대치를 기록. 비트코인 기반 래퍼 펀드로도 자금이 집중 유입. 5월 한 달 동안 래퍼 기반 펀드에는 총 69억8700만달러가 유입
코빗리서치센터는 “올 1분기 코인베이스의 전체 거래 중 80%가 기관 거래에서 발생했다”면서 “리테일 약세 속에서 기관 주도의 구조가 뚜렷해졌다”고 분석. 보고서는 기성 기관 자금의 유입은 “최근 미국발 스테이블코인 제도화와 은행권의 실질적 진입과 궤를 같이한다”고 분석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시장 대부분을 달러 기반 토큰이 차지하고 있는 데 대한 우려가 제기. 로렌조 비니 스마기 전 유럽중앙은행 이사이자 프랑스 대형 은행 소시에테제네랄 회장은 유럽연합의 스테이블코인 시장 참여 확대를 촉구
비트코인 창시자 사토시 나카모토가 100만 BTC를 채굴하는 데 지출한 전기료가 최대 3,700달러에 불과했을 수 있다는 분석. 카르다노 창립자는 사토시가 2009년에서 2010년 사이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데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전력 소비량을 세 가지 시나리오로 분석해 추정 비용을 도출
일본의 패션 유통업체 맥하우스가 비트코인 채굴 사업에 뛰어들며 디지털 자산 분야로의 본격적인 확장을 선언
영국 상장 금 탐사기업 하막골드가 보유 자산 일부를 비트코인으로 전환한다고 발표
스웨덴 디지털 자산 투자사 힐버트 그룹이 비트코인을 핵심 준비 자산으로 보유하는 재무 전략을 발표. 이 소식에 주가는 하루 만에 13% 상승
FTX 파산재단이 현지 디지털자산 규제가 불분명하거나 제한적인 국가들에 대해 채권자 지급을 중단하거나 보류해야 할지 여부를 두고 법적 검토중
| Articles & Sources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암호화폐 기반 상장지수상품(ETP)에 대한 공시 지침을 새롭게 발표하면서 솔라나(Solana), 엑스알피(XRP), 트럼프(TRUMP) 밈코인 등 다양한 ETF 승인 절차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https://m.coinreaders.com/171001
미국 의회가 지정한 ‘크립토 위크’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업계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 하원이 최근 상원을 통과한 ‘스테이블코인 법안(지니어스 액트)’ 등을 집중 논의하기로 하면서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7071510500687
새 정부 인수위원회 역할을 하는 국정기획위원회가 토큰증권(STO) 제도화를 위한 밑그림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인 STO 법제화가 기정사실화되며 부동산·미술품 등 실물·금융자산 조각투자 시장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7071831311606
만약 대한민국 간편결제 시장을 양분하는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가 모든 거래를 이더리움 기반 원화 스테이블코인으로 처리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만약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결제망 내의 모든 거래를 온체인에서 진행하게 된다면 연간 약 1900억원의 수수료를 감당해야 한다는 단순 계산 결과가 나온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41808
카프는 암호화폐 거래를 추적하고 보고하는 체계를 구축해 탈세를 막는 데 초점을 맞춘다. 기존의 연간 보고 방식이 아닌, 실시간에 가까운 투명성을 요구하며, 거래소, 브로커, ATM 운영자뿐만 아니라 비수탁 서비스와 탈중앙화 거래소(DEX)도 규제 대상에 포함된다.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5207
2025년 6월, JP모건의 블록체인 부문인 키넥시스(Kinexys)는 퍼블릭 블록체인인 베이스(Base)에서 예금 토큰(이하 JPMD)의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 그동안 JP모건은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 인프라를 중심으로 기술을 제한적으로 적용해왔지만, 이번에는 개방형 네트워크에서 자산을 직접 발행하고 거래까지 지원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전통 금융기관이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직접 금융 서비스를 운영하기 시작한 의미 있는 전환점이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41631
글로벌 기업들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을 전략 자산으로 채택하며 투자에 속도를 내고 있다. 비트코인에 ‘올인’했던 미국 스트래티지의 성공 사례가 다른 글로벌 기업들의 자산 운용 전략에 영향을 미쳤다. 최근에는 가상자산을 보유하거나 채굴하는 기업에 직·간접적으로 투자하는 금융상품까지 등장하며, 전략이 한층 다양해지는 추세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484957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코인베이스(Coinbase), 제미니(Gemini), 크라켄(Kraken), 로빈후드(Robinhood) 등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와 핀테크 기업들이 블록체인 기반 주식 토큰화 금융 시스템을 구축하며 “주식의 디지털 혁신”을 이끌고 있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39174
디지털자산(가상자산) 산업을 활발히 이끌어온 싱가포르와 홍콩이 최근 상반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5일(현지시각) 업계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디지털자산 거래소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며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반면 홍콩은 디지털자산 전략 ‘LEAP’를 발표하며 디지털자산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41189
| Disclaimer
본 자료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투자 조언이나 권유를 위한 것이 아닙니다. 여기에 포함된 정보는 다양한 출처에서 수집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투자 결정은 개인의 재무 상황, 투자 목표, 위험 감수 능력 등을 고려하여 독자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투자 결정의 결과에 대해 작성자 및 배포자는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