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News Summary

A brief review of the digital asset market and industry
| Digital Assets
비트코인은 월요일 12만2600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지난 일주일 동안 거의 13% 급등. 시가총액은 2.4조달러를 넘어서며, 아마존, 은, 알파벳을 추월
암호화폐 ETP가 비트코인의 사상 최고가 돌파에 힘입어 지난주에만 37억 달러 규모의 자금 유입을 기록하며 올해 누적 유입액이 227억 달러를 돌파. 비트코인 ETP의 총 운용자산은 1,795억 달러로 증가하며, 금 상장지수상품 전체 AUM의 54%에 도달
스트래티지는 지난주 4225 BTC를 매입했으며, 이로써 총 보유량은 60만1550 BTC에 도달
메타플래닛이 비트코인 보유량을 지속적으로 확대. 메타플래닛은 9억3700만달러를 투자해 797BTC를 추가 매입했다고 발표. 평균 매입가는 1BTC당 11만7500달러로, 이번 거래를 통해 총보유량은 1만6352BTC에 도달
알고랜드가 토큰화 주식 시장에서 독보적 점유율을 기록했다는 소식에 가격이 하루 만에 40% 가까이 급등. 알고랜드는 스테이블코인과 실사용 사례를 앞세워 ‘차세대 기관형 블록체인’으로 주목. 알고랜드는 현재 2억6820만 달러 규모의 토큰화 주식을 처리하며 시장 점유율 70%를 차지
블록체인 분석업체 메사리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알고랜드 기반으로 발행된 스테이블코인 총액은 1억35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137% 급증. 이 중 USDC 비중은 98%에 육박
세계 최대 디지털 자산 운용사 그레이스케일이 미국 증시 상장을 추진하며, 암호화폐 업계의 기업공개 바람에 본격적으로 합류. 그레이스케일은 디지털커런시그룹 산하 자산운용사로,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으로 이미 시장의 주목을 받은 바 있음
마스터카드는 글로벌 금융 기술 및 서비스 기업 파이서브가 선보인 스테이블코인 FIUSD를 자사의 상품과 서비스에 통합할 계획. 양사 고객들은 마스터카드의 전 세계 결제 네트워크를 통해 FIUSD를 활용 가능
메타플래닛 CEO 사이먼 게로비치가 한국 기업 SGA의 인수를 통해 아시아에서 비트코인 재무 전략을 확장. 한국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는 SGA의 5800만 주 이상의 신주 발행을 승인. 이번 거래는 소라 벤처스와 KCGI가 이끄는 투자 그룹과 사이먼 게로비치 개인 투자자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추진
코인게코에 따르면 7월 업비트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약 22억9497만 달러로 집계. 올해 1분기 일평균 거래량 41억5745만 달러와 비교해 약 45% 감소. 반면 글로벌 최대 거래소인 바이낸스의 7월 일평균 거래대금은 155억6086만 달러로, 1분기 대비 31% 감소
XRP 지지자로 유명한 변호사 존 디튼이 "XRP ETF가 조만간 출시될 것"이라고 언급
암호화폐 대출업체 블록파이와 미국 법무부가 3500만 달러 규모 자산 이전에 관한 소송을 종결하기로 합의. 이번 발표는 2022년 11월부터 시작된 블록파이의 파산 사태와 관련한 새로운 전환점을 암시
에미레이트항공은 다양한 디지털자산을 결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밝힘. 지원 대상에는 라이트코인을 비롯해 비트코인, 이더리움, 크로노스, 도지코인, 시바이누, 써클 등이 포함
체코 중앙은행이 올 2분기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주식을 처음으로 매수하며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 CNB가 매입한 코인베이스 주식 규모는 약 1,810만 달러 수준
영란은행 총재가 세계 주요 시중은행들을 향해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나서지 말 것을 촉구. 베일리 총재는 스테이블코인이 화폐의 본질과 금융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스테이블코인 대신 '토큰화 예금'으로 디지털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
중국이 스테이블코인을 국영기업의 무역 및 자산 관리에 도입하는 방안을 본격적으로 검토하며, 디지털 위안화의 한계를 보완하는 수단으로 주목. 상하이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는 “국영기업들은 신흥 기술에 대한 민감성을 유지하고, 스테이블코인을 비롯한 디지털 자산의 잠재적 역할을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
부탄 왕국 정부는 자국 투자기관인 드럭 홀딩스를 통해 1205만달러어치의 비트코인 99.47개를 바이낸스로 이동. 이로써 부탄 정부의 최근 2주간 총 이체 규모는 650 BTC, 약 7424만달러에 육박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13일 비트코인의 김치프리미엄은 -1.55%를 기록.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는데도 국내 시장에서는 해외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이른바 ‘역 김치프리미엄’ 현상이 발생 전문가들은 법인 투자 제한과 같은 구조적 원인을 지목
| Articles & Sources
회사법과 금융법을 연구중인 정준혁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14일 "원화 경쟁력을 유지하고 그리고 우리나라 기업들이 블록체인 환경이라든지 디지털 환경에서 여러 가지 새로운 혁신적인 사업 아이디어를 펼치기 위해서는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의 발행은 피할 수 없다"며 "원화 스테이블 코인이 도입됨으로써 소비자 편익과 효용성 등이 분명히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7141821176936
미국 등 주요국들이 가상자산 제도화에 속도를 내는 것과 달리 국내에서는 여전히 입법 논의만 되풀이하면서 아직 첫발도 떼지 못하고 있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가상자산을 제도권 금융자산으로 편입하기 위한 국회 입법 작업은 사실상 제자리걸음이다. 현재 국회에는 스테이블코인과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토큰증권공개(STO) 등 주요 법안들이 잇따라 발의돼 있다.
https://www.decenter.kr/NewsView/2GVCIRLHGW/GZ03
독일 정부가 지난해 7월 5만 비트코인을 매각하며 30억달러(약 4조원) 이상의 잠재적 수익을 놓쳤다는 분석이 나왔다. 당시 매각 시점의 평균 비트코인 가격은 약 5만7,900달러였지만, 현재는 12만 달러를 돌파한 상태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45410
디지털달러의 수요가 늘어나 달러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이 증가하면 통화량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 피셔의 화폐 수량방정식(MV=PY)은 총통화량(M)과 통화의 유통속도(V)가 물가(P) 실질GDP(Y)와 정의 상관관계에 있음을 설명한다.
https://m.mt.co.kr/renew/view.html?no=2025071118104913453
블록미디어는 최근 제기된 시진핑 이상설에 대한 71 개의 보도와 분석을 바탕으로 시진핑 실각 시나리오를 작성했다. 인공지능 제미나이를 이용해 중국의 잠재적인 암호화폐 정책 경로를 추정했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44974
| Disclaimer
본 자료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투자 조언이나 권유를 위한 것이 아닙니다. 여기에 포함된 정보는 다양한 출처에서 수집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투자 결정은 개인의 재무 상황, 투자 목표, 위험 감수 능력 등을 고려하여 독자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투자 결정의 결과에 대해 작성자 및 배포자는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