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4] News Summary

A brief review of the digital asset market and industry
| Digital Assets
디지털자산 트레저리 기업들이 지난주 총 78억 달러의 디지털 자산을 매수 혹은 배정. 최소 5개 상장사가 30억달러가 넘는 이더리움을 구매하거나 구매 의사를 밝힘. 지난주 발행된 이더리움의 약 45배에 해당되는 규모
리플이 B2B 결제 인프라를 위한 특수 목적 신탁은행을 만들 계획임을 시사. 리플은 미국 통화감독청에 ‘리플 내셔널 트러스트 뱅크’ 설립을 위한 면허를 신청. 승인시 결제망에서 중개 은행 없이 직접 결제를 처리. 또 연준과의 직접 연결을 위한 마스터 계좌도 신청
도이치뱅크, DWS, 플로우 트레이더스, 갤럭시가 지원하는 유로 스테이블코인 EURAU가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출시. EURAU는 독일 금융감독청 규정 및 MiCA를 준수하며, 2025년까지 다른 네트워크들로로 확장될 예정
IMF 통계부분 고문이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를 국가 경제 지표에 반영할 것을 권고. 인공지능, 디지털 서비스, 암호화폐 등 신흥 기술의 경제적 가치를 국내총생산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
코인베이스가 디지털자산을 넘어 실물 자산, 주식, 파생상품 등 다양한 금융 자산을 포함하는 통합 거래소로 확장할 계획. 실물 자산 토큰화, 예측 시장 도입, 파생상품, 주식, ICO를 도입할 예정. 이는 '에브리싱 익스체인지' 계획의 일환
JP모건은 오는 2026년부터 자사 은행 계좌를 코인베이스 지갑과 직접 연결하는 '은행-지갑 직결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 고객은 체이스 신용카드로 코인베이스 계정을 충전하거나, 카드 포인트를 암호화폐로 교환해 사용 가능
JP모건 CEO 제이미 다이먼이 오랜 기간 이어온 디지털자산 회의론에서 한발 물러서며 스테이블코인과 블록체인 기술의 가치를 인정했다고 밝힘. 그는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이제는 믿는다”고 언급
중국이 압류한 암호화폐를 홍콩의 규제된 거래소를 통해 청산하려는 계획을 공식화. 단순한 자산 처분이 아니라, 이를 통해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전략
홍콩은 최근 ‘LEAP 디지털 자산 정책 성명서 2.0’을 발표하고 통합 라이선스, 토큰화 상품 확대, 인재 육성 등을 포함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강화. 핵심은 중국의 암호화폐 유입을 통해 시장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움직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암호화폐와 사모펀드를 모두 401k 퇴직연금에 포함하는 행정명령을 추진. 암호화폐를 함께 포함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며 사모펀드업계는 강하게 반발
미국 대형 은행들이 핀테크와 암호화폐 기업을 상대로 데이터 접근을 제한하여 억압하는 ‘초크포인트 3.0’을 실행 중이라는 주장. a16z는 전통 금융권이 코인베이스, 로빈후드 같은 플랫폼들에 계좌 데이터 접근을 차단하고 있다고 지적
코인베이스가 미국 SEC에 제출한 분기보고서에서 XRP는 올해 6월 말까지 전체 거래 수수료 수익의 16%를 차지하며 ETH의 15%를 돌파. 2021년 SEC 소송 여파로 XRP가 거래소에서 제외된 이후 최초
비트코인 네트워크 해시레이트는 초당 902 엑사해시로, 최고치에 근접. 미국에 기반을 둔 채굴풀 Foundry USA는 비트코인 채굴 분야에서 29.3%의 점유율로 1위이며, AntPool 16.2%, ViaBTC 12.0%, F2Pool 11.6% 순서
코인글래스 기준 지난 24시간 동안 전체 청산 규모는 6억 달러 규모. 이중 이더리움 청산 규모는 2억 2,809만 달러로 가장 컸고, 비트코인은 1억 3,137만 달러. 트레이더 14만 5,700명의 포지션이 청산
비트코인 가격이 5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3주 만에 최저 수준에 도달. 미국 투자자 수요를 가늠할 수 있는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은 2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 시카고상품거래소 비트코인, 이더리움 선물 미결제약정은 각각 13%, 21% 감소
이더리움이 11월 대규모 업그레이드를 예고. 지난 5월 ‘펙트라’ 업그레이드 이후 3일 만에 42% 급등한 전례. 11월 ‘후사카’ 하드포크를 예고. 트랜잭션 속도와 확장성을 크게 개선할 예정
미국 재무장관이 자국이 ‘암호화폐 황금기’에 진입했다고 밝힘. 그는 “미국에서 회사를 시작하고, 프로토콜을 출시하고, 인재를 고용할 때”라고 강조. 그는 “탈중앙 컴퓨팅과 디지털 결제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고 언급
스위스 디지털 자산 은행 시그넘은 "미국이 GENIUS법을 통해 혁신을 장려하는 반면, 유럽은 여전히 리스크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지적. ECB의 디지털 유로 프로젝트는 보수적인 규제 기조 속에 더딘 진전을 보인다고 지적
홍콩 금융청은 8월 1일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3개월 내 라이선스 신청을 받겠다고 밝힘. 신청한 기업은 내년 1월 31일까지 운영을 지속 가능. 약 40개 기업이 라이선스를 대기중. 금융당국은 단 10개 미만의 기업만 승인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8월 1일 홍콩 스테이블코인 조례가 공식 발효. 홍콩금융관리국은 자본 요건, 자산 관리, 고객 확인, 준비금, 거버넌스 기준 등을 담은 상세 지침을 발표한 바 있음. 홍콩은행과 스탠다드차타드은행 등이 먼저 라이선스 신청에 나설 것으로 예상
일본 최대 은행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이 XRP 기반 부동산 토큰화에 본격 착수. 기존 개념 검증 단계를 넘어, 기관 및 개인 투자자를 아우르는 전면적 인프라 구축으로 평가
XRP 레저에서 브라질 헤알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급증. 7월 기준 BBRL의 발행량은 420만 달러를 넘어서며 브라질 스테이블코인 시장 2위로 등극. 브라질 핀테크 기업 BrazaBank는 7월 한 달간 BBRL 스테이블코인을 420만 달러 이상 발행
데이터맥시플러스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업비트와 바이낸스 사이에선 비트코인 거래가의 역프 발생일수가 총 25일에 달함. 특히 지난달 8~30일엔 역프가 연속 발생
에테나 창립자에 따르면 7월17일 이후 USDe의 순유입액은 31억달러를 기록. 비트코인 현물 ETF 상품인 블랙록의 ‘IBIT’의 16억 달러와 최대 규모의 이더리움 현물 ETF 상품인 블록록의 ‘ETHA’의 27억 달러를 상회
실물 금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테더 골드(XAUt)의 시가총액은 최근 8억 달러를 돌파. 보유 금은 7.66톤 규모. XAUt는 실물 금 1트로이온스를 1:1로 담보한 디지털 토큰으로, 테더에 따르면 약 25만 9,000개의 토큰이 유통 중
미국 자산운용사 에델만은 “비트코인은 더 이상 실험적인 자산이 아니라, 제도권의 핵심 자산으로 전환되고 있다”며 “포트폴리오 비중을 최대 40%까지 확대할 수 있다”고 밝힘
미국 SEC가 소규모 디지털자산 스타트업과의 직접 소통을 위해 전국 단위 라운드테이블을 개최. 디지털자산 규제 공백 해소와 온체인 금융 전환 전략을 위한 제도 설계 작업의 일환
미국 SEC 의장은 "탈출한 암호화폐 기업들을 리쇼어링해야 한다"고 강조.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도 "지금은 암호화폐 황금기"라며 기업들에게 "미국에서 사업을 시작하고, 프로토콜을 개발하며, 인재를 채용하라"고 촉구
불가리아 기반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넥소는 규제 명확성을 이유로 4월 미국 시장 재진출을 선언. 네덜란드 파생상품 거래소 데리빗과 영국 트레이딩 기업 윈터뮤트도 미국 진출을 준비 중. 세이셸에 등록된 거래소 OKX가 미국 본사를 캘리포니아에 설립. 중국 채굴업체 비트메인도 2026년까지 미국 내 생산시설과 본사를 설립 예정
테더는 올해 2분기 49억달러의 순이익을 기록. 상반기 누적 순이익은 57억달러 규모. 동 기간 테더는 134억달러의 USDT를 신규 발행. 유통 중인 스테이블코인 총량은 1570억달러를 돌파. 연초 대비 약 200억달러 증가한 수치. 미국 국채 보유 규모도 총 1270억달러로 증가
스트래티지가 올해 2분기 순이익 100억 달러를 기록. 영업이익은 140억 달러를 기록. 비트코인 미실현 수익도 130억 달러에 달함. 마이클 세일러는 자사 보유량이 장기적으로 전체 비트코인 공급량의 7%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밝힘
코인베이스가 2분기 동안 비트코인 2509개를 추가로 매입. 총 보유량은 1만1776 BTC 수준이며 약 6억1400만달러의 평가차익. 테슬라의 1만1509 BTC를 제치고 비트코인을 보유한 상장사 순위에서 상위 10위권에 진입
코인베이스가 2분기 실적 발표 후 주가가 급락. 순이익이 전년 대비 89% 감소. 디지털자산 시장의 변동성 약화와 거래량 감소 영향. 다만 구독 및 서비스 부문 수익은 전년 대비 9.5% 증가. 또한 스테이블코인 수익이 3억3250만달러를 기록
암호화폐 거래소 게이트가 미국에서 현물거래 서비스를 개시. 최근 미국 내 규제 환경이 명확해짐에 따라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힘. 게이트는 향후 법정화폐 출금 및 보관형 지갑 지원 서비스도 도입할 계획
캐나다 담배기업인 CEA인더스트리스가 가상화폐 분야로 업종을 전환한다는 발표 이후 주가가 500% 이상 급등. CEA는 가상화폐 전문 투자기업인 10X 캐피탈, YZi 랩스와 함께 가상화폐 투자에 뛰어들기 위해 5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
더모틀리풀에 따르면 현재까지 퍼블릭 체인에 토큰화된 RWA의 총 가치는 약 214억 달러 수준. 보스턴컨설팅그룹은 2030년까지 이 수치가 16조 1,0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
일본 투자사 메타플래닛이 2027년까지 비트코인 21만개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5550억엔을 신규 주식 발행을 통해 조달할 계획
블록체인 기업 비피엠지이 아랍에미리트의 투자회사 MJ에셋인베스트먼트와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대한 전략적 업무 협약을 체결
아시아 웹3 전문 리서치 기관 타이거리서치는 ‘2025 베트남 암호화폐 시장 분석: 2100만 투자자 시장의 모든 것’을 통해 베트남이 규제 기반의 암호화폐 허브로 빠르게 성장 중이라고 분석
아캄 인텔리전스는 FTX 콜드월렛이 약 4500만달러 규모의 솔라나를 스테이킹했다고 밝힘. 자회사 알라메다 리서치 관련 지갑은 약 8000만달러 상당의 이더리움을 기관 스테이킹 업체 피그먼트에 입금한 것으로 확인
이더머신이 10주년을 맞아 이더리움 1만5000 ETH를 매입. 이번 매입으로 이더머신의 이더 총 보유량은 33만4757개로 증가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7월 한 달간 한국의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해외 주식을 집계한 결과 이더리움 트레저리 기업인 '비트마인'이 순매수액 2억4천100만달러로 1위를 차지
| Articles & Sources
국내 가상자산 거래가격이 해외보다 저렴해지는 '역프' 발생빈도가 1년래 최다 수준으로 높아졌다. '역(逆) 김치 프리미엄(김치 디스카운트)'으로 불리는 이 현상의 배경에는 코인대여 서비스의 등장과 국내 증시로의 자금유출 등이 지목된다.
https://m.mt.co.kr/renew/view.html?no=2025080115143171768
미국은 전략 비트코인을 보유 중이지만, 시장에 투입하지 않는 ‘보유만 하는’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유동성을 전략 자산으로 활용하며 가격 조정과 시장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55564
대체 스테이블코인이 뭐길래 여야, 국가를 막론하고 입법 경쟁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요? 스테이블코인의 필요성과 주요 쟁점들을 국회에 발의된 3개의 법안(민병덕·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 발의)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https://m.sedaily.com/NewsView/2GWGXGAIZR
미국 백악관이 암호화폐 규제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한 가운데, 업계가 기대했던 연방 비트코인 준비금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포함되지 않아 이를 바라보는 전문가들의 시선이 엇갈리고 있다.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2110
| Disclaimer
본 자료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투자 조언이나 권유를 위한 것이 아닙니다. 여기에 포함된 정보는 다양한 출처에서 수집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투자 결정은 개인의 재무 상황, 투자 목표, 위험 감수 능력 등을 고려하여 독자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투자 결정의 결과에 대해 작성자 및 배포자는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