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News Summary

A brief review of the digital asset market and industry
| Digital Assets
써클은 Binance의 주도 아래 설립된 글로벌 트래블룰 네트워크(GTR)에 합류. 금융 행동 태스크 포스(FATF)를 적용하기 위해 VASP업체들이 협력하는 연합체. 써클은 TRUST와 GTR 두 네트워크의 정회원으로서, 더 넓은 VASP와 연결
미국은 향후 3년 내 USDT가 규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시장에서 퇴출시킬 방침. 미국 스테이블코인 법안이 정한 디지털자산서비스제공자는 해외 지급용 스테이블코인 발행인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을 미국 내에서 판매하거나 거래할 수 없기 때문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스테이블코인이 미국 국채의 중요한 수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 베선트 장관은 테더와 서클을 비롯한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해왔고, 이런 논의가 향후 몇개월간 단기 국채 발행을 확대하는 재무부 계획에 반영
공화당 상원 의원이자 디지털 자산 지지자인 신시아 루미스가 올해 말까지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을 목표로 디지털 자산 시장 구조 법안을 준비 중이라고 밝힘. 상원 은행위원회가 9월 말까지 이를 통과시키고, 이후 상원 농업위원회가 10월 중 검토에 들어갈 것이라고 언급
미국 디지털자산 및 블록체인 관련 단체 7곳이 브라이언 퀸텐즈를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 위원장으로 신속히 임명할 것을 촉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위원장은 암호화폐 규제의 근본적 전환을 선언. 위원장은 "새로운 시대가 도래했다"며 "암호화폐 프로젝트에 대한 집행 중심의 규제를 완전히 종료하겠다"고 밝힘
리플은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RLUSD를 출시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는 USDC 발행사 서클과 협력하고 스테이블코인 결제 플랫폼 레일을 2억 달러에 인수. 리플 네트워크 활성화를 목표로 하지만, 동시에 XRP의 브릿지 통화 역할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
크라켄은 백드와 협력해 트론 DAO와 손잡고 크라켄의 토큰화된 주식 상품 xStocks를 트론 블록체인에 통합. 백드는 xStocks를 TRC20 네트워크에 배치할 예정. 각 토큰은 크라켄 플랫폼에 상장된 기초 자산과 1:1로 완전히 연계
골드만삭스가 2,880억 달러 규모인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수조 달러까지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 현재 스테이블코인은 주로 암호화폐 거래와 해외 달러 수요 충족에 활용되고 있지만, 진정한 잠재력은 결제 분야에 있다고 분석
비자에 따르면 글로벌 결제 시장 규모가 연간 240조 달러. 소비자 지출이 40조 달러, 기업간 거래가 60조 달러, 개인간 송금 및 결제가 140조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글로벌 결제 시장에서 작은 점유율만 확보해도 시가총액이 수조 달러로 확대될 수 있다고 전망
한국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은 이번주 방한 예정인 히스타버크 서클 총괄 사장과의 면담을 검토 중. 은행 관계자는 "서클 측으로부터 회동을 제안받은 것은 맞다"면서도 "누가, 언제, 어떤 방식으로 만날지는 아직 조율 중"이라고 언급
한국 금융위는 조달청 나라장터에 최근 ‘가상자산 2단계 입법 및 스테이블코인 관련 AML 제도 보완 방안 연구’를 진행한다고 공고. 금융위는 사업자를 선정해 다음달부터 본격적인 연구에 나설 방침
스위스 루가노 대학은 비트코인과 테더를 통한 등록금 납부를 허용. 호주 퀸즐랜드기술대는 USDC 기반 결제 시범사업을 진행. 미국 일부 대학은 비트코인과 USDC 납부를 허용. 엘살바도르의 일부 대학은 비트코인 법정화폐 정책에 따라 등록금 납부에 디지털 자산을 일상적으로 활용
캐나다에서 출시된 XRP 현물 ETF들이 설정액 2억8530만 캐나다달러를 기록하며 빠른 속도로 성장. 출시 두 달 만에 세 펀드가 보유한 XRP는 9610만5909개 규모
일본 도요타가 차량 소유권을 NFT로 발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모빌리티 금융’을 실현하겠다고 공개. 도요타 측은 차량 등록과 운행·정비 등의 데이터를 블록체인 위에서 관리하겠다는 구상을 소개
X에 비트코인 팁 기능이 정식 도입되며 수백만 명의 이용자가 전 세계 창작자와 커뮤니티에 즉각적으로 암호화폐를 전송이 가능.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훨씬 낮은 수수료와 빠른 결제를 제공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디지털 은행 소파이가 라이트닝 네트워크 기반 국제 송금 서비스를 도입. 앱 내에서 미국 달러는 실시간으로 비트코인으로 전환된 채로 국경을 넘은 후 수취인의 은행 계좌에 현지 통화로서 입금
미국 나스닥 상장을 추진하고 있는 가상자산 거래소 제미니가 제미니 월렛을 출시. 제미니는 모듈형 스마트 계정 인프라 넥서스를 기반으로 한 브라우저 자가수탁 지갑을 출시
스테이블코인 전체 시가총액이 2760억 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 이는 2025년에만 540억 달러가 증가한 것으로, 2021년 이후 가장 빠른 성장세
일본 3D 프린팅 주택 건설업체 리브워크가 비트코인 매입 계획을 발표하며, 비트코인을 직접 매입한 비 암호화폐 기업 대열에 합류
하나증권은 한국예탁결제원이 주관하는 '토큰증권 테스트베드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참여해 주요 기능에 대한 실증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발표. 예탁결제원은 토큰증권 법제화에 대비해 지난해 10월부터 8개월간 플랫폼 구축 사업을 진행
| Articles & Sources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둘러싼 갑론을박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해외에서 발행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역내 규제 방안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달러 기반 테더(USDT)와 서클(USDC) 등이 국내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는 만큼, 외국환거래법 개정 등을 통한 규제체계 정비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8202111594846
미국 최대 스테이블코인 기업 써클의 최고위층이 이번 주 한국을 방문한다. 국내 디지털자산(가상자산) 생태계에 관심이 많았던 만큼 업계 관계자를 만나 정보 교류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방한이 한국 시장 진출을 위한 단초가 될지 주목된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64308
스테이블코인 규제가 마련되어 실제 발행 인가심사가 이루어진다고 생각해보자. 중요한 인가심사 항목이 여럿 있겠지만, 절대 놓쳐서는 안되는 항목 중 하나가 바로 자금세탁방지 방안일 것이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64174
2021년부터 암호화폐 거래를 전면 금지하고 있는 중국이 미국에 대응해 역외 위안화 시장을 내세워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498689
올 하반기 국내 가상자산 시장 내 법인 투자자 진입이 허용되면서 주요 거래소들이 앞다퉈 법인 대상 영업 전략을 내놓고 있다. 이들은 기업용 코인거래 전담 조직 신설부터 맞춤형 서비스 출시까지 발 빠르게 대응하는 모습이다.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143471
| Disclaimer
본 자료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투자 조언이나 권유를 위한 것이 아닙니다. 여기에 포함된 정보는 다양한 출처에서 수집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투자 결정은 개인의 재무 상황, 투자 목표, 위험 감수 능력 등을 고려하여 독자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투자 결정의 결과에 대해 작성자 및 배포자는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