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News Summary

A brief review of the digital asset market and industry
| Digital Assets
비트코인, 이더리움 현물 ETF 시장 모두 4거래일 연속 유출세를 보이는 가운데 블랙록의 ETH ETF 및 BTC ETF에서 5억달러 가까이의 순유출이 발생
룩온체인에 따르면 블랙록은 8월 20일 자사의 ETF에서 약 3억6600만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코인베이스 프라임 지갑으로 이전. 트랜잭션 데이터를 통해 1885 BTC와 5만9606 ETH이 코인베이스 프라임으로 이동한 것으로 확인
수탁은행 스테이트 스트리트가 디지털 자산 분야로 활동 범위를 넓히며 JP모건의 블록체인 기반 자산 플랫폼인 디지털 채권 서비스에 첫 번째 외부 수탁은행으로 합류. 첫 거래로 싱가포르 은행 그룹인 OCBC이 발행한 1억달러 규모의 토큰화 기업어음 거래를 처리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스위프트가 리플의 XRP 레저와 헤데라의 해시그래프를 활용한 블록체인 기반 송금 실험을 개시. SWIFT는 ISO 20022 국제 표준을 활용해 기존 금융 시스템과 블록체인을 통합하는 시험을 진행 중
싱가포르의 DBS 은행이 이더리움 플랫폼을 활용해 구조화 상품을 토큰화. 이 상품은 투자자들에게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노출을 제공. DBS는 디지털 플랫폼인 ADDX, DigiFT, HydraX와 협력해 이 구조화 상품을 배포할 계획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디파이는 전통 금융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결제 기술일 뿐"이라며 "디지털 달러와 스마트 계약, 토큰화를 활용한 거래가 일상적인 금융 활동과 다르지 않다"고 강조
펜실베니아주 하원에서 공무원과 그 직계가족의 비트코인 및 기타 디지털 자산 보유를 금지하는 법안이 발의. 이번 법안은 공무원의 신흥 자산군 노출을 차단하기 위해 주 윤리 및 재정 공개법을 개정하려는 의도
아크인베스트가 디지털자산 시장 변동성 속에서 포트폴리오를 빠르게 재조정. 거래소 불리시와 로빈후드 지분을 늘리는 한편, 비트코인 ETF 보유분은 대거 청산하며 ‘주식 확대, 비트코인 축소’ 전략을 동시에 실행
미국 소비자금융보호국(CFPB)이 ‘오픈뱅킹’ 규제의 재정비를 추진. 핀테크 기업과 디지털 결제 혁신업체들은 소비자들이 추가 비용 없이 금융 데이터를 자유롭게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 반면 은행과 신용조합은 규제가 과도한 부담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
디지털자산 거래소 제미니가 유럽 사업 확장을 지속. 제미니는 몰타 금융감독청으로부터 MiCA 라이선스를 획득
나스닥에 상장된 홍콩 건설사 밍싱그룹홀딩스가 4억8300만달러 규모로 비트코인 4250개를 확보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 이번 거래가 완료되면 밍싱그룹은 3350BTC를 보유한 ‘부야 인터내셔널’을 제치고 홍콩 최대 비트코인 보유 기업에 등극
미국 정부가 보유한 이더리움 물량이 다시 늘어나며 총 규모가 2억 8,100만 달러 수준. 코인베이스에서 약 33만 2,000달러 상당의 이더리움이 정부 지갑으로 이체. 미국 정부는 현재 총 234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보유
메타마스크가 자체 스테이블코인인 메타마스크USD(mUSD)를 공식 발표. mUSD는 탈중앙화 지갑 서비스가 직접 발행하는 첫 스테이블코인으로, 결제 인프라 기업 스트라이프 계열사 브릿지가 발행을 맡고, 탈중앙 인프라 기업 M0가 민팅
일본 금융 대기업 SBI홀딩스도 주식 토큰화 플랫폼을 개발 중. SBI홀딩스는 싱가포르 웹3 기업 스타테일 랩스와 합작해 블록체인 기반 주식 토큰화 플랫폼을 준비. 주식을 디지털자산으로 발행해 증권사를 거치지 않는 주식 거래 서비스를 제공
중국 국무원이 이달 말 글로벌 위안화 사용 확대를 위한 로드맵을 최종 검토 후 승인할 예정. 글로벌 위안화 사용량 목표치와 위안화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 당국의 역할, 위험 예방 가이드라인 등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
영국 정부가 러시아가 서방 제재를 회피하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 지목된 93억달러 규모 루블 연동 스테이블코인 네트워크와 키르기스스탄 금융기관을 제재. 제재 대상에는 디지털자산 거래소 그리넥스와 미르가 포함
부에노스아이레스가 디지털자산을 활용해 시세와 행정 수수료를 납부할 수 있는 정책 패키지 ‘BA 크립토’를 시작. 해당 패키지는 재산세, 차량세, 거래세 등 시세와 운전면허 발급, 교통 범칙금 납부 같은 비과세 행정 서비스에도 적용
인도 정부가 토지대장, 공급망, 디지털 상거래 등 핵심 영역에 블록체인과 AI를 대규모 도입. 2022년부터 2047년까지 이어지는 ‘아므리트 칼’ 개혁 비전의 일환으로, 하원에서 발표
트럼프 그룹 부회장 에릭 트럼프가 와이오밍 블록체인 심포지엄 2025에서 “한 국가가 비밀리에 비트코인 20만개를 매입했다”고 주장
한국의 카드업계가 공동으로 스테이블코인 상표권을 출원. 여신금융협회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권 18종을 출원. 출원 대상은 CARD WON, KCARD KRW, KCARD WON, KPayOne, 케이원페이 등 스테이블코인 및 관련 서비스 명칭 총 18건
한국의 국정기획위원회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가상자산 현물 ETF와 스테이블코인에 관한 규제를 마련한다고 밝힘. 5개년 계획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를 주축으로 디지털 자산 생태계 구축이 진행될 예정. 금융위는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유통에 관한 규율 체계를 신속하게 마련한다는 계획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의원은 가치안정형 디지털자산 발행업 등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 발의. 법안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원하는 사업자는 금융위원회의 인가를 받아야 하며 최소 50억원 이상의 자기자본, 건전한 사업계획, 물적·인적 요건을 모두 갖춰야 함
국회에서 스테이블코인으로 국제 무역 결제를 하게 되면 무역수지 개선으로 연간 수조 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 삼성전자는 연간 최대 약 1400억 원, 현대자동차는 300억 원, 네이버파이낸셜은 1조 원 가량의 추가 이익이 가능한 거란 전망
| Articles & Sources
미국 소비자금융보호국(CFPB)이 ‘오픈뱅킹’ 규제의 재정비에 나섰다. 이와 관련된 정책 논쟁은 은행과 핀테크 기업 간 대립으로 지속되고 있으며, 규제 개정이 완료될 때까지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65046
신현송 국제결제은행(BIS) 경제보좌관 겸 통화경제국장이 원화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외환 거래 규정을 무력화하는 지름길"이라고 우려했다. 화폐의 단일성을 유지하는 것이 통화제도의 핵심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교환비율이 존재하는 스테이블코인이 원칙 자체를 훼손한다는 지적이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8211518164036
4대 금융그룹이 대표적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인 USDT·USDC 발행사와 잇달아 만난다. 한국은행이 달러 스테이블코인 확산으로 통화 주권이 위협받을 수 있다며 규제 강화를 요구한 상황에서 이뤄지는 행보라 관심이 쏠린다.
https://mbiz.heraldcorp.com/article/10558974
중국 정부가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가진 미국 달러에 맞서기 위한 전략으로 위안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비트코인을 비롯, 디지털자산에 부정적이던 기존 입장에서 선회한 것. 미국의 디지털 금융 패권을 마냥 보고 있을 수 없다는 위기 의식이 반영된 행보로 풀이된다.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143510
| Disclaimer
본 자료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투자 조언이나 권유를 위한 것이 아닙니다. 여기에 포함된 정보는 다양한 출처에서 수집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투자 결정은 개인의 재무 상황, 투자 목표, 위험 감수 능력 등을 고려하여 독자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투자 결정의 결과에 대해 작성자 및 배포자는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